초록 열기/닫기 버튼

『병자일기』는 조선시대 사가 여성 남평 조씨가 쓴 일기로, 1636년 12월에서 1640년 8월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다. 병자호란의 발발 시점에서 시작하는 일기는 병자호란이 끝나고도, 3년 이상 더 작성되었다. 독자는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간접 경험을 기대하면서 『병자일기』를 읽을 수 있지만, 결국 저자의 경험과 고통의 서사에 집중하게 된다. 독자가 이러한 읽기가 가능한 것은 『병자일기』가 서로 다른 시간의 양상으로 사회적 결핍과 개인적 결핍을 기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병자일기』가 개인적 결핍에 할애하는 시간은 역사적 공동체인 독자에게 『병자일기』를 기록이 아니라 서사로 읽도록 변형하고, 저자의 개인적 경험을 공유하도록 만든다. 『병자일기』의 해석 준거로 활용가능한 시간개념은 독자가 텍스트를 의미화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병자일기』의 독자가 텍스트를 서사적으로 이해한다면, 텍스트의 시간은 서사적 시간으로 재단될 것이다. 말하자면, 텍스트의 장르에 따라 시간을 분석한다기보다는 텍스트 해석적 기제에 따라 텍스트의 시간을 분해하는 것이다. 텍스트 인식에 작동하는 기제가 서사적 인지 작용이라면, 서사적 시간을 기준으로 텍스트의 시간을 재구조화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자가 『병자일기』를 서사적 텍스트로 읽고자 할 때, 텍스트의 시간이 어떤 방식으로 재편되는지를 살폈다. 나아가 서사적 시간을 통해 『병자일기』를 분석해 봄으로써, 비서사 텍스트에서 서사성을 구현하는 독자의 인지 체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Byeongja-ilgi is a diary written by Nampyeong Jo, a woman in the Joseon Dynasty. This diary was recorded from December 1636 to August 1640. This diary begins at the same time as the outbreak of Byeongja-Horan. This war ended in 1637, but this diary has been written for over three years since then. Readers are more likely to read the Byeongja-ilgi while anticipating an indirect experience with the historical event called “Byeongja Horan”. However, while reading this diary, the reader concentrates on the narrative of the author's experiences and suffering. I think that the reader can read this because the Byeongja-ilgi describes social and personal deficiencies in different time patterns. The reading time devoted to the lack of Byeongja-ilgi transforms the reader to read the Byeongja-ilgi as a narrative rather than a record, and makes them share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s. The concept of time that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interpretation of Byeongja-ilgi can vary depending on the way the reader makes the text meaning. If the readers of the Byeongja-ilgi understand the text narratively, the time of the text will be cut as a narrative time. In other words, the reader analyzes the time of the text according to the interpretive mechanism of the text, not the genre of the text. If the mechanism that works for the reader's text recognition is a narrative cognitive function, the reader restructures the time of the text based on the narrative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when the reader wants to read the Byeongja-ilgi as a narrative text, how the time of the text is reorganized was examin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ime of the text is reorganized when the reader wants to read the Byeongja-ilgi as a narrative text. Furthermore, by reconstructing the Byeongja-ilgi through narrative time, it attempted to explore the reader's cognitive system that embodies narrative in non-narrative 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