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봉원사 약사여래회도(1894년)는 19세기 서울·경기지역의 대표적 화승인 금곡 영환이 말년에 조성한 불화로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 불화의 수화승인 금곡 영환은 남양주 흥국사 괘불도(1858년) 를 개금 편수로 참여하여 제작한 이후 19세기 후반에 서울·경기지역을 대표하는 화승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약사여래회도 이외에도 괘불도·석가여래회도·아미타여래회도·칠성도·지장보살도·신중도 등 다양한 주제의 불화를 조성하였다. 영환의 화풍은 안정적인 구도와 전통적인 화풍을 조합하여 근대기 불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금 채색을 비롯한 채색에 뛰어난 기량을 보여 준다. 영환의 화풍 연원에 대한 연구는 그의 활발한 작품활동에 비해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았다. 그런데 그의 초기작인 미타사 금보암 관음보살상의 개금 불사(1862년) 기록에서 중봉 혜호를 수화승으로 모시고 개금에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혜호가 영환의 스승임을 파악하고 화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봉 혜호는 수화승 화담 신선이 조성한 흥천사 괘불도(1832년)부터 불화가 확인되며, 금곡 영환이 주석했던 남양주 흥국사의 주요 불사에서 활동하고 있다. 영환은 중봉 혜호가 참여한 흥천사 괘불도(1832년)와 남양주 흥국사 괘불도(1858년)의 도상을 이어받은 백련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1868년)를 제작하고, 혜호가 제작한 「불설아미타경요해」권수 판화(1853년)의 도상을 계승하여 경국사 아미타여래 괘불도(1878년)를 수화승으로 조성하고 있다. 영환의 스승인 중봉 혜호는 조선 후기 승려 화악 지탁(華嶽知濯)의 제자 화담 경화(華潭敬和)의 선을 이어받은 제자로 『삼봉집』 「화담대사부도비명」(1869년)에서 인허 성유, 월하 세원, 수봉 법총과 함께 기록된 선승이다. 이들은 남양주 흥국사를 중심으로 한 불사와 봉은사 판전 불사(1856년)를 비롯한 주요 불사를 함께하면서 화맥을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남양주 흥국사에 주석했던 영환도 이곳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담 경화의 문도인 인허 성유와 연계되어 불화를 조성하면서 화담 신선, 수봉 법총, 월하 세원, 중봉 혜호 등의 화풍과 연결된 화맥을 이어받고 있다.


This article was examined th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at Bongwonsa temple in Seodaemun-gu, Seoul, created by Geumgokdang Yeonghwan in 1894. The main feature of the cult of Bhaiṣajya-guru was its emphasis on the healing power of Bhaiṣajya-guru, as part of the worldly benefits that worship of him guaranteed. Bongwonsa temple was served as Wondang(願堂), which prayed for the good fortune of the royal family. This painting was made the year after the Bongwonsa Yaksajeon Hall was a building built in 1893. Yeonghwan began to appear first on the Buddhist banner painting at the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created in 1858. He acted as a monk painter representing the Seoul and Gyeonggi area in the 19th century. Besides th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Yeonghwan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of various themes including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Sakyamuni and Amitabha Buddha paintings, Tejaprabha buddha paintings, Ksitigarbha paintings, Buddhist deity paintings. He is exhibited outstanding skills in stable screen composition, the form of sacred images such as Buddhas and Bodhisattvas, stylistic expressions of color and pattern, etc. He is Jungbong-Heaho(中峯 慧皓)s student, and he is following Hwadam-Kyunghwa(華潭敬和) schools. The eight paintings of Bhaiṣajya-guru buddha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the 19th century were identified at the Huncheonsa(1847), Backrunsa(1890), Heungguksa in Namyangju(1892), Bongwonsa(1894), etc. Thes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shows the influences of the painting style of Geumgok-Yeonghwan(金谷永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