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환경 이슈의 미디어 간 미세먼지 뉴스를 활용하여 사회적으로형성되고 있는 주요 의제(프레임)는 무엇이며, 언론과 여론 간의 의제설정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4개 언론사(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신문 보도와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2019년 3월까지 미세먼지에 대해 보도된 1,698건의 언론사 뉴스와 1,000건의 네이버 블로그 뉴스를 토픽모델링과 의미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프레임을 도출하였다. 추가로 QAP 분석을 실시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언론사 보도와 네이버 블로그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언론과 여론간의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먼저 언론사와 미디어에서 사용한 프레임은 시기와 관계없이 대체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사는 미세먼지 이슈에 대해 ‘단순 정보 제공 프레임’, ‘건강 피해 프레임’, ‘대응 프레임’, ‘원인 귀인 프레임’을 이용하여 관련 속성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에서 나타난 시기별 주요 프레임은 전통 언론보도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언론과 여론간의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designed and researched for the analysis of the frame revealed in the media reports (Chosun Ilbo, Dong-A Ilbo, Kyunghyang Newspaper, Hankyoreh Newspaper) and Naver Blo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network about fine dust news between media of environmental issues. As a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nalyze 1698 news and social media agenda settings from October 2013 to March 2019, we input’fine dust’ from Naver Blog and collected and analyzed 1000 related news through R Studi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rames used in the media of the press were generally similar regardless of the timing. As the media discussed the fine dust issue, it was revealed that the relevant attributes were conveyed to the public using the’simple information providing frame’,’health damage frame’,’response frame’, and’cause attribution frame’. The main frames used for each period of social media appeared similar to mass media.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agenda setting between correlation media by applying QAP of media and public opinion on micro d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