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4-5년쯤 전 유럽의 한 도시에서 경제인들이 모여 인간사회의 미래 모습을 기술공학적인 관점에서 예측하는 담론을 제시한 후에 특히 한국 사회에서 광풍처럼 몰아치고 있는 기술-미래 담론과 우리 교육학계에서 그것에 주목하면서 수행되어 온 관련 교육 논의들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되짚어 보고, 그와 같은 논의 흐름을 배경으로 한 교육철학적 담론들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지를 제언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문은 세 장으로 구성되는데, 첫째 장에서는 기술 발전에 기반한 미래를 논의하는 담론들의 성격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그러나 그런 논의들은 특징적으로 기술결정론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는 점과 함께 기술이 발달한 미래 사회라 하더라도 그 사회의 전반적인 성격은 인간이라는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을 주장한다. 둘째 장은 기술-미래 담론의 한 유형인 포스트휴머니즘 담론, 그 가운데 첨단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능력의 향상을 이루고자 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의 몇 가지 유형들을 검토하고, 그러나 ‘포스트휴먼’ 담론을 포함한 기술-미래 담론들이 제시하는 미래사회에 대한 여러 예측들은 사실은 현재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치・경제적 편견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 그리고 그것들이 추구하는 인간 능력 ‘향상’은 인간사적 활동으로서의 ‘교육’의 한 유형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셋째 장에서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한 유형으로서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이 휴머니즘의 의미를 주로 계몽주의적 인간관과 연결 지어 규정하는 관점을 재검토하고, 원래 휴머니즘은 다양한 시대적 상황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지만 그 근저에는 인간의 존엄성 훼손에 대한 저항의 이념으로 존재해 왔다는 점, 그리고 교육은 그러한 휴머니즘을 여전히 추구하는 인간 활동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한다.


This essay review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meanings of the ‘technological-future’ talks which have been prevailing especially in Korea since the World Economic Forum of 2016 where a picture was proposed that described the future society exclusively in the technological viewpoint, and some related educational discussions which pay attention to such technological-future talks and discuss education in their background, and then proposes some important ideals that people who study philosophy of education ought to consider when they deal with those future talks. The essay is composed of three main chapters, the first of which briefly examines the nature of the future talks of technology and argues that they wrongly take the view which sees future society only from the technologically-determined point and that, however, we need notice the whole nature of a society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actor of ‘humans’ even if technology plays very important roles in it.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s the ‘posthumanism’ talk which allegedly is a currently popular branch of the technological-future talks, especially some forms of ‘transhumanism’ which aim at the enhancement of human abilities by making use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argue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facts that the predictions of future talks including the technological-future talks, as a matter of fact, cannot escape from the contemporary political and economical biases, and that the ‘enhancement’ of human abilities that they pursue cannot be regarded to be a form of education as human affair. And finally the third chapter reexamines the viewpoint that the ‘critical’ posthumanism defines the meaning of humanism mainly with reference to the Enlightenment viewpoint of humans, and argues that although humanism takes different forms in different historical situations but it always exists as an ideal of resistance to threats and possible intentions of harming the dignity of humanity, and that education is still a human activity which pursue such hum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