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기림은 1930년대 초기에 문학에서 사랑을 거론하는 것 자체를 부정하였지만, 실제로는 해방 이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사랑시를 쓰고 사랑론을 모색하여왔다. 1930년대 전반기에 김기림은 현대 문명으로 인해 낭만적 사랑이 위기에 처한 현실을 사랑을 부정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그는 현재의 결혼제도를 인정하면서, 생활에서 가능한 사랑을 탐색하였다. 해방 후에 김기림은 아들러의 영향을 받아 공동체 감정을 향한 사랑, 남녀 평등에 기초한 사랑, 생활에서 발현되는 사랑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사랑론을 제시하였다. 김기림의 사랑론은 낭만적 사랑 담론을 넘어서는 새로운 사랑 담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였다는 점, 생활에 기초한 공동체 의식을 제시하였다는 점, 민주적인 문화 형성에 기여하였다는 점 등의 의의가 있다.


Kim Ki-rim denied mentioning love in the early days of his literary career while pursuing modernist literature, but continued to write love poems and seek love theory until after liberation. In the 1930s, romantic love had criticized the reality of crisis and sought a new way of love. He emphasized love in life, acknowledging the current marriage system. Since 1945, Kim Ki-rim accepted Adler’s theory of love, suggesting a theory of love that can be summarized as love based on community feelings, love based on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love expressed in everyday life. Kim Ki-rim’s theory of lov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new discourse on love beyond the discourse on romantic love, that the individual’s life could be defin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that it fostered a sense of community based on life, and that i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democratic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