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러시아로 한정할 경우, 수용소 문학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1980년대 중후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수용소 문학의 보편적 특징을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지금까지 진행된 학문적 성과에 따르면, 수용소 문학은 ‘수용소를 소재로 하여 수용소의 문제점과 잘못된 역사, 그리고 인간의 본성을 진실하게 전달하려는 문학’으로 조심스럽게 정의된다. 물론 잘못된 역사가 더는 반복되지 않도록 하지 위해서는 정의로운 사회로의 변화 역시 수용소 문학의 목표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진실을 전달하고 사회변혁을 꿈꾸기 위해서 수용소 문학은 필연적으로 텍스트에서 그려지는 수용소 상황이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는 인상을 독자들에게 심어주어야 한다. 그래야 독자들의 공감을 좀 더 폭넓게 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수용소 문학의 핵심 문법, 특히 수용소 체험을 객관적 사실로 인식시키는 전략이, 수용소 문학이 형성되는데 결정적 공헌을 했던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에서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에 주목했다. 솔제니친은 ‘다성성과 의사직접화법, 숫자의 미학, 괄호-텍스트 외적 서술’을 활용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텍스트의 내용을 사실로 인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었다.


When limited to Russia, academic approaches to camp prose began in the mid- 1980s.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2000s, to understand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camp prose was appeared.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camp prose is carefully defined as 'literature that sincerely conveys the problems of the camps, the wrong history, and human nature'. 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the wrong history from being repeated any more, the change to a just society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goal of the camp prose. In order to convey the truth and dream of social transformation, camp prose inevitably imparts to readers the impression that the camp situation depicted in the text actually happened. This is because it can bring out the empathy of the readers more broadly.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grammar of camp prose, especially the narrative strategy of recognizing the camp experience as an objective fact, is actually implemented in Solzhenitsyn's One day in the life of Ivan Denisovich, which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camp prose in Russia. Solzhenitsyn gained the possibility of allowing readers to perceive the contents of text as facts by using ‘polyphony and pseudo-direct speech, the aesthetics of numbers, and narration based parentheses-out of t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