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이 글의 목적은 부산 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을 논의하는 것이다. 방법: 초․중․고등학생 각각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항목은 ‘밭, 팥, 꽃, 빛, 흙, 닭, 값, 굵-, 맑-, 넓-’을 선정하였다. 이 항목에 조사 또는 어미의 결합형을 조사하였다. 결과: 체언의 경우, ‘Xㅌ’에서 ‘밭’은 복잡한 양상을 보이지만 ‘팥’은 ‘Xㅅ’형인 ‘팟’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난다. ‘Xㅊ’에서 ‘빛, 꽃’은 모두 ‘Xㅊ’형의 실현율이, ‘Xㄺ’에서 ‘닭, 흙’은 모두 ‘Xㄱ’형의 실현율이, ‘Xㅄ’에서 ‘값’은 ‘Xㅄ’형의 실현율이 각각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Xㅄ’형에서 호격 ‘아’와 결합하게 되면 ‘Xㅂ’형과 ‘Xㅄ’형의 실현율에는 큰 차이가 없다. 용언의 경우, ‘Xㄺ’에서 ‘굵-, 맑-’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의 결합에서 ‘Xㄹ’형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나며, ‘Xㄼ’에서 ‘넓-’은 ‘Xㄹ’형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난다. 결론: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에 있어서 초․중․고등학생별로 약간의 차이가 보이기도 하며, 어간말 자음의 종류나 조사/어미에 따라 다양한 실현 양상을 보여 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spects of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s for students in Busan. Methods: The study targets 60 students. The survey items were ‘bath(밭), path(팥), kkoch(꽃), bich(빛), heulk(흙), dalk(닭), gaps(값)’ and ‘gulk-(굵-), malk-(맑-), neolp(넓-)’. The survey items were again examined by combining postpositions or ending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bath(밭)’ shows a complex aspect depending on postpositions, but ‘path(팥)’ has a high realization rate of ‘phas(팟)’. ‘bich(빛) & kkoch(꽃)’ ‘Xch’ type, ‘dalk(닭)’ and ‘heulk(흙)’ ‘Xk’ type, and ‘gaps(값)’ ‘Xps’ type. ‘gulk-(굵), malk-(맑)’ showed a high realization rate of ‘Xl’ type. and ‘neolp-(넓-)’ ‘Xl’. Conclusion: In aspects of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s, they are shown depending on the type of stem-final consonants or case- marking particle/final e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