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포스트휴머니즘의 기원에 관한 논쟁은 들뢰즈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다. 브라이도티를 비롯한 페미니즘 연구자들은 들뢰즈의 스피노자 해석을 바탕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을 정의하고자 하는 반면 안셀-피어슨은 들뢰즈의 초기 연구를 바탕으로 인간과 여타 존재 간의 구분되는 특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전거를 통해 제기된 주장을 토대로, 인간을 프리휴먼과 포스트휴먼 사이에서 생성 중인 중층적 존재로 이해한다. 인공지능, SNS와 같이 네트워크 미디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정보사회에서 인간은 분산된 주체성을 띤 존재로 파악된다. 포스트휴머니즘을 계승한 교육 연구들은 위계에서 자유로운 아이 상, 리좀적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우리는 이 논쟁을 통해 세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포스트휴머니즘 개념의 정립은 포스트휴먼 상황과 포스트휴머니즘 간의 구분이라는 전략을 취할 수 있다. 둘째, 포스트휴머니즘의 규범성은 인공지능의 자율성이라는 허구를 벗어나 진보된 인간 사회를 지향하는 규범 위에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포스트휴머니즘이 남길 유산은 교육적 공공성의 재구축이라는 과제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bates about the origin of post-humanism and educational research. In the center of the debates are interpretations about Gilles Deleuze. The author on the basis of the arguments raised by different writers understands human beings as productive becoming presence between pre-humans and post-humans in time, In the information society, humans as being are regarded as becoming beings with decentralized identity. This conception of humans contrasts with that of humans with modern self-reliance. Education researchers who inherit post-humanism present child awards and curriculum awards that are free from hierarchy. We can get three implications through the argument about this origin. First, the ques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post-humanism requir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ost-human situation(ontology) and the post-human thought(epistemology). Second, the question of normality of post-humanism calls for the study to distinguish between hotly contested norms and those that are agreeable. Especially, we must grasp the complexity of human labor behind the autonom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stablish norms for a better society for humans. Third, the question of the legacy of post-humanism asks to inherit and update the reflectivity of postmodernism, the identity of the partie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with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