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遊關西錄> 소재 145제 165수의 시를 텍스트 삼아, 1457년 23살 김시습의 행적과 심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시습의 관서 유람 시기는 1458년으로 오인된 사례가 적지 않은데, <유관서록>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고려하면 1457년으로 확정할 수 있다. 유람 여정은 이른 봄 洛河를 건너 송도와 평양 두 고도에서 한동안 머물다가 묘향산에 들어가 여름을 나고, 가을 초엽 묘향산을 나서는 것으로 이어졌다. <유관서록>은 이러한 시공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되어 있으며, 각 구간에 따라 심리와 미의식의 변화를 드러낸다. 멸망한 전대 왕조의 수도인 송도에서는 폐허에서의 허무를 체감했다. 신화적이며 낭만적인 도시 평양에서는 문명의 영화에 취했다. 묘향산에 들어가서는 하계를 내려다보며 흉금을 크게 틔우고, 그렇지 않을 때는 禪房에서 三昧에 들어 三生의 業緣을 끊어냈다. 이렇게 정돈된 마음으로 묘향산을 나선 뒤에는 승려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동시에 유자들과 교유하면서, 한 지점에 머물지 않는 삶의 방식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path and mood of 23-year-old Kim Si-seup(金時習) in 1457, by analyzing his poetical works <Yukwanseurok(遊關西錄)>. There are many cases that Kim Si-seup’s sightseeing time was mistaken for 1458. Considering the characters in <Yukwanseurok>, it can be confirmed in 1457. The trip was followed by crossing Nak River(洛河) in early spring, staying at Songdo(松都) and Pyongyang(平壤) for a while, entering Mt. Myohyang(妙香山) during summer, and leaving there in early autumn. <Yukwanseurok> is edited according to the flow of space-time, and each section represents psychological and aesthetic change of Kim Si-seup’s mind. In Songdo, the capital of the fallen dynasty, Kim Si-seup had an nihilistic experience. In Pyongyang, the mythical and romantic city, he felt the glory of civilization. In Mt. Myohyang, he looked down the world below and widened his heart. Otherwise, he entered into sam-mae(三昧) in Buddhist temple and cut the karma of three lifetimes. After leaving Mt. Myohyang with such an orderly mind, he solidified his identity as a monk. At the same time, while interacting with confucian scholars, he showed a way of life that was not limited to one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