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유아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부모와 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부모 17명, 유아 17명), 비교집단(부모 17명, 유아 17명) 및 통제집단(부모 18명, 유아 18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의 부모와 유아, 비교집단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총 16회기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의 전체점수와 불안감 및 병적몰입에서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졌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서 전체점수와 대인 간 갈등의 경우 부모와 자녀가 동시에 스마트폰 교육을 받은 실험집단과 유아만 교육을 받은 비교집단의 경우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social issue of increasing smartphone addicted infa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by developing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To this end, we composed experimental group (17 parents, 17 infants), comparison group (17 parents, 17 infants) and control group (18 parents, 18 infants) to conduct a total of 16 sessions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hat are developed by researchers. As a first result, the case of experimental group who took the smart 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is more decreased in post inspection than pre-inspection from the overall scores of par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anxiety and pathological immersion. Secondly, in the case of the overall score of infants’ smartphone addiction and human conflict, parents and infants of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smartphone education and only infants of comparison group that took the education statistically shows the lower score in the post inspection than pre-insp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for parents and infants’ smartphone ad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