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명인의 시집 『東豆川』 속에는 실지 지명인 ‘동두천’을 소재로 한 연작시 9편이 수록되어 있다. 동두천이 6・25 전쟁 후에 한국 현대사에서 복잡한 상징성을 지닌 현장인 만큼 문학원형 공간으로서의 구현 양상을 탐색한다. ‘동두천’에서는 전쟁의 후유증과 생존의 무게를 지닌 인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고서적인 비망록 형태의 서사가 함축적인 시의 형태로 발현되고 있다. 특히 ‘아메리카’라는 외부 공간이 빈번하게 차용되는데, 혼혈아들의 이상향임과 동시에 원망의 나라인 이항대립의 담지적인 의미망이 서사적 확장을 이루고 있다. 전쟁의 후유증으로 정체된 지역이었던 동두천을 김명인의 시편을 통해 다시 조명함으로써, 동두천 지역을 비롯한 문화사회적 저변확대 구축과 담론적 연구의 계기로 삼는다.


Dongducheon, a collection of Kim Myeong-in’s poems, contains nine serial poems about “Dongducheon”, an actual place name. Given that Dongducheon was a site of complex symbolism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fter the Korean War,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its poetic representation as a space of literary archetype. In Dongducheon, narratives in the report-like memorandum form are manifested in the form of implicative poem through characters suffering the aftermath of war and the burden of survival. In particular, the external place of “America” is frequently borrowed. Its reflective semantic network is expanding narratively in a binary opposition between a utopia and a country of resentment for the mixed-blood son. By shedding light on Dongducheon, which used to be a stagnant place due to the aftermath of war, once again through poems of Kim Myeong-in, the present study transcends timeliness and takes a chance for discourse research to build a new cultur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