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의 1인 미디어의 시청 양상이 어떠한 하위 유형이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러한 하위 유형 집단별로 자기통제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남녀 중·고등학생 24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시행한 결과, 무관심형, 적극활용형, 유희 한정 지속이용형, 무동기 적극시청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성별 및 학교급별로 하위 유형 분포 비율의 차이가 유의한지 확인한 결과, 성별 간 유의미한 분포 비율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교급에 따른 군집의 분포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중학생의 경우 무관심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고등학생의 경우 적극활용형의 비율이 높았다. 다음으로 각 하위 유형 집단별로 자기통제력에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자기통제력의 하위 변인인 즉각적 만족추구 경향이 적극활용형 집단에서 다른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1인 미디어 이용에 대한 효과적인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적인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b-groups of Korean adolescents’ personal media viewing patterns, and examine the difference of self-control among those sub-grou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ound out four subgroups of the personal media viewing patterns: 1) disinterested type, 2) active use type, 3) continuous use type with limited purpose for amusement, and 4) continuous use type without specific purpose. Cluster distribu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chool levels, but not by gender. Type 1 was more comm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ype 2 was more comm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lso, there was significant self-control differences among clus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stant gratification level, the sub-factor of the self- cont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ype 2 group compared to the rest groups. Lastly, authors provided suggestions in developing effective counseling and education regarding the personal media use of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