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을 분석하여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시에 거주하며 직업경력이 2년 미만이고 현재 직장에서 6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지적장애인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자료는 근거이론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은 취업의 이유, 취업을 준비하는 방법, 힘겨운 취업 장벽의 인과적 조건에 따라 초기 일의 어려움, 기대의 불일치, 적응의 힘겨움, 불만족스러운 근무환경의 맥락적 조건과 직장동료와의 교류, 슬기로운 여가생활, 인적·사회적 지원의 중재적 조건에 의해 꿈을 갖고 한 걸음씩이라는 중심현상을 드러냈다. 또한 노력과 도움, 끊임없는 자기계발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경험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 삶의 보람, 성숙해지는 나, 일을 통한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은 혼란, 저항, 노력, 성장의 단계로 나타났고 전체를 아우르는 핵심범주는 일을 통한 자아실현이었다. 결론: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의 핵심경험을 중심으로 직업유지를 돕기 위한 방법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는 지적장애인이 행복한 직업생활을 영위하도록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itial job adaptation proc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actical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alyze the vocational adaptation process in work life, and establish preventive support plan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fundamental problem solving.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used the intentional sampling method to target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and who had maintained their jobs for more than 6 months at the current workplace, and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initial vocational adaptation process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that it was a "stage of confusion," "stage of resistance," "stage of effort," and "stage of growth." The core category through selective coding was "self-actualization through work." Conclusion: Methods and strategies were proposed to help maintain a job, focusing on the core experience of the early vocational adaptation proc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ead a happy professiona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