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내외적으로 지속적인 자원의 개발과 소비로 인해 생태계 파괴가 발생하고 있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도서지역도 기후변화, 환경오염, 난개발 등으로 인해 생태계 위기와 생물다양성의 감소에 따라 도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 생물다양성을 활용한 생태관광의 형태도 지역의 관광이 사회적 편익과 환경 이익에 공헌할 수 있는 개념으로 트랜드가 변화하였다.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존‧유지하기 위해서는 존재가치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지역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풍도의 독특한 식물자원을 활용한 관광산업으로 풍부한 생물다양성이 일반 국민에게 알려진 전후 2010년과 2013년의 방문객 추이와 소비지출액으로 인한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풍도의 식물자원에 대해 국민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전과 후, 즉 2010년과 2013년을 분석 시점으로 설정하고 각 연도별 풍도 관광 1인당 지출액을 추정하였다. 각 연도의 지역산업연관표를 관광산업으로 재분류하여 지역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비교하였다. 풍도지역의 독특한 야생화 등으로 생태관광객이 2010년에 비해 2013년에 증가하였고 풍도 생태관광으로 인한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457백만 원, 부가가치효과는 361백만 원의 차이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부문의 증가는 풍도가 육지와 떨어져 있는 도서라는 특징으로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1박 2일 일정으로 생태관광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이에 따른 관광객의 소비 증가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소매서비스와 문화 및 기타 서비스의 생산유발과 부가가치유발 효과 감소는 풍도를 찾는 관광객의 특징이 휴식 및 낚시 활동 위주에서 야생화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다양성을 찾는 생태관광의 형태로 변화하는 과정이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된다. 풍도의 생물다양성으로부터 창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있지만 이를 보존하기 위한 관리비용은 더 많은 비용과 국민의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풍도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지역주민의 지속적인 보호활동에 대한 가치환원 작업이 동시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풍부한 지역생물다양성으로 인한 관광객의 증가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국민에게 알려진 전후를 구분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 접근은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를 기초로 도서 생태관광객 조사와 더불어 도서지역 경제구조 파악을 통한 실질적인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도서 생물다양성 보존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Ecosystem destruction is taking place around the world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resources. Even in island regions with high biodiversity, ecosystem crises and biodiversity are de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velopment thoughtless for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island biodiversity is being emphasized. The trend of ecotourism utilizing local biodiversity has also changed to the concept that local tourism can contribut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In order to preserve and maintain biodiversity through sustainable ecotouris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 value of existence, but also the economic effect on the local econom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visitors and the impact of consumption expenditure on the local economy in 2010 and 2013 when the abundant biodiversity wa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as a tourism industry utilizing the unique plant resources of Pung-do.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the local economy due to the trend of visitors and consumption expenditures as a tourism industry utilizing the unique plant resources of Pung-do. The number of ecotourists increased in 2013 compared to 2010 due to the unique wildflowers of the Pung-do. There was a difference of 457 million won in the production induction effect and 361 million won in the value-added effect o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due to Pung-do Ecotourism. Specifically, because ecotourism was conducted for two days and one night using the following transportation means, the increase in the dining and lodging service sector is estimate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tourist consumption. In addition, the decline in the effects of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culture, and other services is believed to be a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who visit Pung-do are changing from simlpy relaxation and fishing activities to a form of ecotourism seeking various biodiversity including wildflowers. Although there is an economic ripple effect created from the biodiversity of Pungdo, the management cost to preserve it will require more financing and public attention.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simultaneously restore the value of local residents' continuous protection activities for the conservation of Pung-do’s biodiversity.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a research approach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the increase of tourists due to the abundant local biodiversity on the local economy by dividing the post-war periods known to the public is of great significance. In addi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economic effect on the local residents through the survey of island ecotourists and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island region, and seek support measures for preserving the biodiversity of the islands in Korea while simulaneously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