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거제도 노자산은 우수한 경관과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자원이 풍부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 멸종위기식물이면서 산림청 희귀식물인 대흥란이 거제도 노자산에서 대규모로 확인되어 대흥란 자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된 조사지 6곳을 선정하여 입지환경, 토양환경, 식생구조, 종간상관관계 등 생태적 특성을 2020년 6월~8월 사이에 현장조사하였다. 대흥란 자생지는 해발고 84m에서 137m의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도는 2~12o로 비교적 완경사지였다. 노암률은 평균 16.2%였으며 범위는 9%에서 22% 사이였다. 유효토심과 낙엽층 두께는 각각 19.3 cm와 10.9 cm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대흥란 개체수는 1번 조사구 212개체, 2번 조사구 63개체, 3번 조사구 45개체, 4번 조사구 117개체, 5번 조사구 55개체, 6번 조사구 200개체로 확인되었다. 대흥란 개체수가 가장 많이 확인된 조사구 1과 6에서 노암률과 유효토심 그리고 낙엽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토양수분 함량은 평균 25.9% (24.2∼27.9%)로 비교적 습한 환경이었으며, pH는 5.76(5.52∼5.99), 유기물함량은 6.86%(5.25∼8.48%), 전질소는 0.34%(0.28∼0.42%), 유효인산은 5.52 ppm(3.0∼10.8 ppm), CEC는 16.9 cmol+/kg(15.2∼18.9cmol+/kg)의 값을 보였다. 치환성양이온 함량은 Mg2+>K+>Ca2+>Na+ 순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에서는 중요치의 값의 차이는 있지만 곰솔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의 중요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목층에서는 덜꿩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에서는 모든 조사구에서 주름조개풀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에서 0.520∼0.980, 아교목층 0.718∼1.133, 관목층 0.919∼1.201의 범위에 있었으며,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교목층에서 평균 0.730, 0.270, 아교목층에서 0.722, 0.278, 관목층에서 0.847, 0.153로 조사지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earson의 종간 상관관계에서 대흥란은 가지청사초, 옥녀꽃대 계요등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마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Spearman의 순위상관에서 대흥란은 산족제비고사리, 둥근털제비꽃, 그늘사초, 우산나물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mbidium macrorrhizum habitats in Nozasan (Mt.) of Geoje-city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ield investigations including site characteristics,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conducted in 24 sites from Jun. to Aug. 2020. The altitude of C. macrorrhizum habitats ranged from 84 m to 137 m with slopes of 2∼12o. The rock exposure rate was on average 16.2%, and it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9% to 22% for each si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on average 19.3 cm and 10.9 cm, respectively. Rock exposure ra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relatively high in sites 1 and 6, where the number of C. macrorrhizum was large. In soil environments, it was found out that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was 25.9% (24.2 to 27.9%); 5.76 (5.52 to 5.99) for soil pH; 6.86% (5.25 to 8.48%) for soil organic matter; 0.34% (0.28 to 0.42%) for total N content; 5.52 ppm (3.0 to 10.8 ppm) for available phosphorous, and 16.9 cmol+/kg (15.2to18.9cmol+/kg) for CEC. Exchangeable cations were decreased in order of Mg2+>K+>Ca2+>Na+, which was different from general results decreasing in order of Ca2+>Mg2+>K+>Na+ in forest soils. The dominant species of site 1 were Pinus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and Sorbus alnifolia at the subtree layer, Viburnum erosum at the shrub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2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E. japonica at the subtree and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3 was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a at the sub-tree layer, Callicarpa japonica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s 4, 5 and 6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us and L. erythrocarpa at the sub-tree layer, with Callicarpa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and Zanthoxylum piperitum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dex ranged 0.520 (site 5)∼0.980(site 1) at the tree layer, 0.718 (site 3)∼1.133 (site 6) at the sub-tree layer and 0.919 (site 5)∼1.201 (site 6) at the shrub layer. Evenness and dominance were on average 0.730 and 0.270 at the tree layer, 0.722 and 0.278 at the sub-tree layer, and 0.847 and 0.153 at the shrub layer, which illu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udy sites. In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 macrorrhizum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Carex polyschoena, Chloranthus fortunei and Paederia scandens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Discorea batatas. C.macrorrhizum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Dryopteris bissetiana, Viola collina, Carex lanceolata, and Syneilesis palmata in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identifi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 macrorrhizum habitats,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 macrorrhiz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