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부모참여 놀이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1996년부터 2019년 8월까지 출판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58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효과크기는 총 228개,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1.35(p<.05)로 매우 큰 효과 크기에 해당하였다. 부모변인에 따른 부모참여 놀이치료의 평균 효과 크기는 1.12(p<.05)로 자녀 변인에 따른 부모참여 놀이치료의 평균 효과 크기 1.04(p>.05)보다 컸다. 연구대상 구성 유형은 부모요인(1.67)과 환경요인(1.54)이 아동요인( .77~1.16)보다 큰 효과 크기를 나타내어 부모참여 놀이치료는 부모와 환경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유형으로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1.6)와 부모놀이치료(1.45) 등 단기간에 명확한 지침서를 토대로 시행한 치료기법이 가장 큰 평균 효과 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은 실제 임상 장면에서 필요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부모참여 놀이치료 연구의 균형 있는 발전과 더불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58 academic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1996 to August 2019 of parent-participating play therapy in Korea. According to the study,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is 1.35 (p<.05). Average effect size in parent variables was 1.12(p<.05). In sub-variables, parent interaction was ES=1.78, parenting stress ES=1.05, emotional expression, control ES=0.88, and parenting efficacy ES=0.79 to be in order. The average effect size in child variables was 1.04(p>.05). By sub-variables, the effect size of child interaction were ES=1.36, attachment stability ES=1.30, social emotional ability ES=1.08, and problem behavior ES=0.90 in orderly manner. Average effect size in types of intervention were;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PCIT ES=1.65, Filial Therapy ES=1.45, Sand Tray Play ES=1.45, Theraplay ES=1.27, to be in order. The results of the will be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e study along with the balanced development of parental participating play therapy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