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버지와의 애정적 유대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아버지와의 갈등 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버지와의 애정적 유대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통해 아버지와의 갈등 정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가족 수업’에 참여하는 세종시 중학생 남녀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부-자녀간 애정적 유대, 회복탄력성, 부-자녀간 갈등 정도의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첫째, 청소년이 인지하는 아버지와의 애정적 유대가 청소년이 인지하는 아버지와의 갈등 정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성은 아버지와의 갈등 정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은 아버지와의 애정적 유대와 아버지와의 갈등 정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기 아버지와의 갈등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아버지와 청소년 자녀간의 관계의 힘과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의 교육적 필요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father-adolescent on the degree of conflict between father-adolesc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father-adolescent on resilience and degree of conflict between father-adolescent, the indirect effect of the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father-adolescent on the degree of conflict between father-adolescent by mediating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8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jong Cit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adolescent affectionate relationship, resilience, father-adolescent conflict and resilience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father-adolescent perceived by adolescents negatively affects the degree of father-adolescent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adolescents' resilience, positivity was confirm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father-adolescent conflic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partially mediated the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the degree of conflict with the fa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the conflict between father-adolescent, and verified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adolescent, and the educational necessity of adolescent‘s resil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