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문헌인 『郭店楚墓竹簡』의 <노자> 텍스트를 그 사상과 문헌학적 방면의 이해를 목적으로 구성된 세미나의 첫 번째 결실이다. <곽점노자> 텍스트를 대상으로 전국시대 楚 나라 문자를 이해하여 문자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기존의 이해와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새롭게 원문을 번역하고 해석하여 선진 사상을 철학적으로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포함하고 있다. <곽점노자>를 이후의 판본들과 문자학적으로 비교 분석한 것을 토대로, 철학적 의미의 서로 다른 지층을 재구성한 이 연구는 초기 도가적 사유가 유가에 대하여 선명한 비판을 전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곽점본 <노자>의 언어적 표현이 다소 세련되지 못하고 여전히 유동적이고 형성되고 있는 과정에 있는 텍스트이지만, 논의의 일관성이 있고 통행본에 비해 보다 정합적이라는 측면에서, 이 텍스트를 통행본의 요약본으로 보는 견해에 대하여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연구의 성과는 곽점본 <노자> 텍스트가 초기 도가적 사유가 잘 드러나고 있는 통행본의 초기 모델로 보는 견해가 보다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he first result of study from the seminar of Chu manuscripts that is designed to understand archaeologically excavated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terms of thought and paleography. With a paleographic approach to the Guodian and later Laozi texts, and by critically investigating earlier understandings and arguments on the texts, this study is to give a new interpretation on the Guodian version in an attempt to reconstruct an intellectual history of pre-Qin China. Given the philosophical stratification between the Guodian and later Laozi texts, those who supported main ideas in the former text did not seem to make a sharp criticism about Confucius and his followers. This suggests that early Daoist thought was not antagonistic to Confucianism. Although the Guodian Laozi text remained fluid in its textual formation and unsophisticated in its language, the textual content is more coherent in philosophical meaning than the current Wang Bi version. In this respect, it is hard to see the Guodian version as an anthology or summary of the later Laozi texts. Rather, it is reasonable to see the Guodian Laozi text as an early model of the different Laozi versions that were later fo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