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난심리 지원체계와 미국의 재난심리 지원체계 및 위기상담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Post–COVID- 19를 위한 한국형 심리방역체계 구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심리학회 COVID-19 특별대책위원회의 전화상담을 중심으로 한 재난 위기개입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속한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단기간에 전화상담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둘째, 질병관리본부 등 공적체계와 연계하여 전화상담 홍보, 사례연계 등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셋째, 위기개입 매뉴얼을 제작하고 배포하여 표준화된 위기개입의 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코로나와 관련한 문제뿐만 아니라 재난에 노출된 사람들의 다양한 어려움과 폭넓은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상담사를 위한 보호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saster psychology support system in Korea and the U.S. as well as crisis counseling programs in the U.S.. Further, it drew implication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Korean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the aftermath of COVID-19. Thus, the activities of disaster interventio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telephone counseling provided by the COVID-19 Special Committee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elephone counseling system was promptly established based on rapid decisionmaking. Second, the organization formed a systemic relationship, such as the promotion of telephone counseling and case links, in connection with public systems such as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ird, a standardized framework was prepared for crisis intervention by producing and distributing crisis intervention manuals. Fourth, in addition to issues related to COVID-19, the various difficulties of people exposed to disasters and the need to provide a wide rang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were confirmed. Fifth, systemic protection should be provided for counselors. Finall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