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93년부터 2019년까지의 분기별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대인도 FDI와 주요 FDI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인과관계에 대하여 VAR 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일부 FDI에 대해서는 일방향의 인과관계를 보이고는 있지만, 한국의 주요 해외 FDI와 대인도 FDI 간에는 쌍방향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기업들이 인도시장을 다른 해외시장에 대한 대체재로 파악하기보다 보완재로 인식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대인도 FDI의 증가는 전체 해외 FDI의 증가와 상호 연관되어 있어 이러한 보완적 성향이 더욱 강한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본고는 대인도 투자의 증가가 전 세계 공급망을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코비드-19의 영향으로 향후 탈세계화 움직임이 가속화될 경우 인도를 생산 거점 또는 보완적 생산적 기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VAR granger causality of FDI to India with major FDI using quarterly data over the period of 1993 to 2019 in terms of total FDI, FDI in manufacturing, and large-firms’ FDI.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Korean FDI to India has the bilateral causality with the major outward FDIs, although some FDIs show unilateral Grange causality relations. It is interpreted that overall, Korean companies recognize the Indian market as a complementary good rather than as an alternative to other overseas markets. Moreover, the Korean FDI in Indian manufacturing has a bilateral causality relationship with the total outward FDI. This means that the increasing in investment in Indian manufacturing induces the demand of its related products, especially intermediate goods from the neighbors. Thus, this paper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ossibility that investment in India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global supply chain. Accordingly, if de-globalization progresses rapidly in the future, India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