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원효의 교판관은 “붓다의 가르침이란 중생들을 위한 것이고, 그 중생이앓고 있는 병을 치료하기 위함(佛說法無不爲人 無非對治衆生病)”이라는경전의 기연(起緣)에 대한 가장 현실적인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여러경전 가운데 『반야경』에 대한 원효의 교상판석은 『대혜도경종요』의제5문(‘判敎’)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는데, 여기서 원효는 기존의종파중심의 교상판석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비판적인 반론 제기를 시도하고 있다. 필자는 본고를 통해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후 가장 먼저 중요시 되었던 『반야경』을 원효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당시 제기되었던 여러 교판관에 대한 원효의 비판을살펴보고 그가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교판관의 일면을 더듬어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대혜도경종요』을 통해 드러난 원효의 교판관의 특징은 단순히 『반야경』을 『화엄경』과 동등한 자리에 놓고 그 경전적 위계만을 격상시키고 자했던 것이 아니라 붓다가 설한 어떠한 경전이라도 관점과 입장에 따라 최상의 지위에 이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 교상판석에 대한 이론적 배격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의 인정을 통해모든 법 심지어는 불법(佛法)에 있어서조차도 그 이면이 존재한다는 이제(二諦)적 존재양식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 내재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 필자는 이렇게 『대혜도경종요』에서의 교판을 통해 상이한 주장과해석을 쳐 없애려는 『반야경』 특유의 파사(破邪)적 부정만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들의 교학적 일리가 인정될 수 있도록 하려는 원효의 긍정까지도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Wonhyo’s classification of Buddha teachings(敎判) begins with the most realistic perception of the origin of the scriptures, “Buddha’s teachings are for the sentient being and are for the healing of their diseases.” Among the Buddhist sutra, Wonhyo’s classification of Buddha teachings on ‘Prajñāpāramitā sūtra(般若經) is more specific in the fifth sentence of his writings, ‘The fundamental tenets of Prajñāpāramitā sūtra’(大慧度經宗要). In this writings, Wonhyo proposes reflective speculaton for sectarian arguments and makes a critical counterargument based on them. In this paper, I looked at how Wonhyo recognized Prajñāpāramitā sūtra,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book sinc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 China. and looked at the criticism made by Wonhyo on the classification of Buddha teachings that were raised at that time. So I tried to pursue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classification of Buddha teachings that he eventually aimed to pursue.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the classification of Buddha teachings shown in this book were not merely intended to elevate ‘Prajñāpāramitā sūtra’ to the same position as ‘Mahāvaipulya Buddhāvataṃsaka Sūtra(華嚴 經)’. His intention is to show that any sutra can reach the status of supreme depending on the views and positions of the people. We can also see that it is not the theoretical rejection of the other side, but rather a thorough perception of the two form of statement of being that the other side exists even in Buddha Dharma. Through Wonhyo’s ‘The fundamental tenets of Prajñāpāramitā sūtra’, we can not only understand the breaking evil way of the Prajñāpāramitā sūtra, which is intended to construe different opinions and interpretations, but also understand 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admitting the academic reasoning of that different opin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