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원효는 7세기 중국에서 흡수한 여러 다른 교학체계를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회통하여 독창적인 사상체계를 건립하였다. 따라서 당시 주류 사상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원효 사상의 사상사적 토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에 나타난 이제관과 평등관에 주목하여, 삼론종과 천태종에서 나타난 함의와 비교를 통해, 원효와 이전 사상 간의 연속성과 비연속성을 고찰하였다. 삼론종 법랑에서 ‘불이는 곧 이제이고 이제는 곧 불이’인 상즉 논리를 통해 이제관과 평등관은 서로 동등한 위상이 되었고, 나아가 서로 무애하게되었다. 즉, 삼론종에서의 출입관은 양자를 동시에 함께 관조하는 ‘병관(竝觀)’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법랑의 제자 길장은 이 점을 분명하게밝히며, 병관의 세 가지 차원, 즉 수평적, 수직적, 득실을 전개하였다. 반면, 천태종 지의의 삼관에서 이제관과 평등관은 중도제일의제관에 이르는 단계적 방편일 뿐이고, 중도제일의제관이야말로 이제를 평등하게 쌍조하는 궁극적인 경지다. 원효가 이제관과 평등관의 논리적 선후를 인정했다는 점에서는 천태 지의가 삼관 중 이제관과 평등관의 위계성을 설정했던 점과 일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원효의 전체 교학 구조에서 본다면, 이제관과 평등관은 초지에서 동시에 구족되는 것으로 두 관법이 그 자체 중도라는측면에서 삼론종의 해석과 일맥상통한다


In the 7th century, Wonhyo(元曉) built his unique system of thoughts through absorbing various teaching systems in China in his own way. Therefore, if we compare Wonhyo's thought with the mainstream thoughts at that time, we can understand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his thoughts. In this paper, I will pay attention to the Erdi-guan(二諦觀) and the Pingdeng-guan(平等觀) shown in the Commentary on the Vajrasamādhi Sūtra(『金剛三昧經論』), and examine the continuity and the discontinuity between Wonhyo and the previous though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implications in Sanlun School and the implications in Tiantai School. Wonhyo recognized the logical order between the Erdi-guan and the Pingdeng-guan, and it certainly has the similarity with Tiantai Zhiyi's Three Methods of Contemplation, which has vertical relations among them. However, if we look at the whole teaching structure of Wonhyo, it is in accord with the interpretation of Sanlun School in terms that thErdi-guan and the Pingdeng-guan is nothing else but the Middl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