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연행록을 매개로 조선 후기 문인지식인의 대중국 인식의 한 유형을 천착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박지원의 〈일신수필〉을 주된 분석 텍스트로 삼았는데, 중국에서 무엇을 어떻게 배울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 텍스트에서 깊이 있게 다뤄지고 있어 조선 후기 대중국 인식의 한 유형을 잘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 서문에 대한 그동안의 논의가 일관되지 않을 뿐 아니라 서문과 〈일신수필〉의 관계 등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박지원이 중국에서 무엇을 어떻게 배우려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 면모가 선명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왕의 연구 성과를 성찰하여 〈일신수필서〉를 다시 읽어내고, 그 결과 위에서 〈일신수필〉뿐 아니라 『열하일기』와의 구조적 관계까지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박지원이 그 서문을 통해서 중국의 대관(大觀), 즉 중국의 제도를 보려 했으며, 이를 위해 조선의 고루한 선비들과 달리 구이지학(口耳之學)과 정량(情量)의 한계를 벗어나야 함을 역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일신수필〉뿐 아니라 『열하일기』 또한 이 서문에서 제시한 목적과 방법대로 구성되어 있음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일록(日錄)을 중심으로 보고 들은 바를 서술하되 그중에서 정량이 미친 바를 새로운 형식으로 정리했으며, 그 정량이 미치는 방향은 천하의 대관, 즉 중국 고유의 법과 제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지원의 〈일신수필서〉와 일록 및 각종 기문(記文) 등은 조선 후기 문인지식인의 대중국 인식의 한 유형을 잘 보여주는 텍스트라 이를 만하다. 이 가운데 서문은 〈일신수필〉뿐 아니라 『열하일기』 구성과 서술의 토대가 되는 만큼, 〈일신수필〉의 서문이자 『열하일기』 전체를 관류하는 서문으로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a type of literary intellectuals’ consciousness toward Chin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mediation of Yeonhaengrok. This paper focuses on Ilsinsuphil written by Park Jiwon as a main analysis text. As this text deals with the discussion of what to learn and how to learn in China in great detail it allows us to study one perception of China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not only are the discussions in the introduction in consist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and Ilsinsuphil has not been properly revealed. Therefore, the details of what and how Park Jiwon was trying to learn in China are not clearly revealed. In this paper, w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re-read Ilsinsuphilseo. To obtain the results,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not only with Ilsinsuphil but also with Yeolhailgi. Park Jiwon tried to create a magnificent spectacle of the Chinese, that is, the Chinese system through the introduction. This paper confirms that h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overcoming the limits of Gujihak(口耳之學) : he does not look deeply into what he hears through his ears; he only conveys it to others through his mouth, and cannot make it his own at all) and Jeongryang(情量), unlike other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Ilsinsuphil and Yeolhailgi were compos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method suggested in this introduction. This paper describes what Park Jiwon saw and heard, centering on daily records, and summarizing things affected by Jeongryang (情量) in the new format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direction of Jeongryang(情量) was supportive of China’s government, that is, China’s unique law and system. The introduction, daily records and other records of Park Jiwon’s Ilsinsuphil are texts that show one type of literary intellectuals’ consciousness toward China in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them, the introduction serves as the basis for the composition and description both Ilsinsuphil and Yeolhailg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ewly evaluate the introduction of Ilsinsuphil, which wholly permeates Yeolhail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