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의 학습전이 제고를 위해 교육훈련특성(전이촉진적 교육방법, 교육내용의 업무 연계성), 전이동기,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업무성과-보상 기대가 갖는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 그룹에서 교육훈련을 이수한 610명의 직원들을 유의표집하여 교육종료 3개월 후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이촉진적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의 업무 연계성은 전이동기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전이동기는 학습전이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셋째, 업무성과-보상 기대는 전이촉진적 교육방법과 전이동기의 관계를 조절했으나 교육내용의 업무연계성과 전이동기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았다. 넷째, 교육훈련특성, 전이동기,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업무성과-보상 기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한 실천 및 연구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of performance-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training characteristics (transfer design, content validity), motivation to transfer, and learning transfer.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approach, w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via an electronic survey from 610 employees of H conglomerate in South Korea who had completed a training program at least 3 months before the data collection. We utilized SPSS PROCESS MACRO to analyze the hypothesized mediated moderation effects in our research model.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s: (1) transfer design and content validity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otivation to transfer, respectively; (2) motivation to transfe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arning transfer; (3) performance-outcome expect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design and motivation to transfer, but did not between content validity and motivation to transfer; and (4) there were no mediated moder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raining characteristics, motivation to transfer,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HRD in the practice and research area to improve learning transfer in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