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4세기 초, 고조선 故地에 漢 군현이 처음 설치된 이래로 400여 년 동안 한반도 서북부에 남아있었던 중국군현 세력은 고구려에 의해 요동의 바깥으로 완전히 축출되었다. 고구려는 이미 1세기 무렵부터 낙랑군 지역을 공략했으며, 3세기 말에는 대동강 너머의 대방군 지역까지 진출하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마침내 미천왕대에 이르러 낙랑ㆍ대방군의 옛 땅을 자신들의 영토로 흡수했다. 고구려가 낙랑군과 대방군을 축출하고, 해당지역을 지배한 방식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파악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낙랑군과 대방군은 설치 배경에서부터 고구려에 의해 복속되는 과정, 이후의 지배방식에 이르w기까지 여러 차이가 있었다. 낙랑군은 비교적 일찍부터 고구려의 진출로 영향력이 축소되고, 군현의 통치조직도 와해되었다. 반면 대방군은 공손씨에의해 분치된 이후 군현의 질서를 상당히 회복하였고, 비교적 늦게까지 군현체제가 원만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고구려가 2군 고지를 지배하는 방식에도 차이를 가져왔다. 낙랑군 고지는 적극적인 재편이 시도되었다면, 대방군 고지에서는 새로운 통치 거점을 개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기존의 지배 질서를 용인하는 이중적인 모습이 확인된다. 군현 축출 전후로 확인되는 낙랑군 지역과 대방군 지역 문화 양상의 차이도 이러한배경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In the early 4th century, Koguryo had completely driven out the Chinese commanderies that had been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fall of Gojoseon. Koguryo had already attacked the Nakrang area since the 1st century, and attempted to reach the Daebang area beyond the Daedong River at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finally, when King Micheon reigned, they absorbed the old land of Nakrang and Daebang commanderies into their territory. Previous studies have understood that Koguryo dominated the old land of Nakrang and Daebang commanderies in a similar way. However,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Nakrang and Daebang areas, including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the process of being subjugated by Koguryo, and the way Koguryo ruled the two regions. With the advance of Koguryo, the Nakrang commandery was weakened relatively early, and the governing organization was disbanded. On the other hand, since its establishment by the Gongsun regime, the Daebang commandery restored the governing order, and until relatively late, the commandery system has remained smooth. This difference has also led to differences in the way Koguryo ruled after taking over the two commanderies. After Goguryeo advanced into the two regions, the Nakrang region was actively reorganized, while the Daebang region dominated by utilizing the existing base and governing order. The differences in cultural aspects appearing in the Nakrang area and the Daebang area can als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is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