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표는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전개한 기초존재론이어떻게 방법론적 정당화라는 과제에 부응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일부 선행 연구가 보여준 바와 같이 기초존재론의 탐구는 탐구자 스스로 실존의본래성에서 착수할 때만 정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실존의 본래성만으로기초존재론의 정당성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나는 실존의 본래성 외에도, 해석학적 순환에 따라서 하나의 해석이 더 고차적인 해석 단계에서 성공적으로 재해석될 때 내적인 검증이 이루어진다는 사실 그리고 본래적 공동존재에서 해석학적 순환이 “상호주관적으로” 확장된다는 사실이 기초존재론의 방법론적 정당화에 이바지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끝으로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이 실존의 본래성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그 정당성 규준을 사적 영역으로 돌린다고 비판하는 몇몇 논평에 대하여 그러한 비판이 실존의 본래성 외에 해석학적 순환에 의한 내적 검증이나 본래적 공동존재에서의 상호적 검증과 같은 기초존재론의 또 다른 방법론적 계기를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how fundamental ontology developed by Heidegger in Being and Time can meet the task of methodological justification. As som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a fundamental ontological inquiry can be justified only when the inquirer starts from the authentic mode of existence. However, the authenticity of existence alone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legitimacy. Besides, I argue, both internal verification and “intersubjective” expansion of the hermeneutic cycle contribute to the methodological justification of f undamental ontol goy. F inal l, Iy r efute some c omments that c riticize fundamental ontology for ascribing its legitimacy to the private realm. They neglect the role of both internal and “intersubjective” verification of the hermeneutic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