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가족다양성 관점을 중심으로 공론장의 가족담론을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페어클라우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질문인 ‘가족다양성에 대한 담론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론장에서 다양한 가족을 바라보는 시선은 가족위기론에서 가족변화론으로, 더 나아가 가족의 진화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요약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가족의 개념과 의미는 재정의 되고, 정서적 상호돌봄 기능이 더욱 강화된다. 둘째, 비전형 가족이 공론장에서 담론의 주체가 되어 사회적 차별에 대한 담론을 생산·유통하며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와 투쟁한다. 셋째, 담론의 사회적 실천은 구조적·제도적 보완을 위한 법체계 개정·제정 요구로 이어져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담론 주체들의 사회적 합의에 따른 갈등현상, 접근방법, 참여의 제도화를 과제로 제시하며, 다양한 가족구성이 시민적 권리로서 가족복지 정책과 실천 현장에도 확장되기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mily discourse in the public sphere,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family diversity,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discourse on family diversity' are as follows. The changed view of various families in the public sphere is from family crisis theory to family change theory. Furthermore, it is summarized as hoping for the evolution of the family. Specifically, first, the concept and meaning of the family were redefined, and the emotional mutual caring function was further strengthened. Second, non-standard families become the subject of discourse in the public sphere, producing and distributing discourse on social discrimination, and fighting of normal family ideology. Third, the social practice of discourse leads to the social demands of the revision and enactment of the legal system for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which requires social consensu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nflict phenomenon, approach,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Consensus’ of the discourse subjects, and suggested that various family composition would be extended to family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 sites as civil r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