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케어안심주택의 한 유형인 공공실버주택에 거주하는 노인을 위한 복지기술 기반 커뮤니티케어 모델 정립을 위한개념적 틀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케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함에 있어서 복지기술 개념을도입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사회서비스 모델의 방향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와 개별심층면담 방법을 활용해 공공실버주택 거주 노인의 욕구 및 문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커뮤니티케어 서비스제공 방안 등을 탐색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1) 노인의 삶과 기능, 그리고 목표, 2) 노인과 환경, 3) 서비스제공의 목적과 방법, 4) 원활한 사회서비스 전달을 위한 노력이라는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각각의 범주에서는 총 12개의 주제어와47개의 세부주제어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주제어들은 종합적으로 노인의 특성과 그들이 거주하는 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질적, 양적 변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들에기반한 커뮤니티케어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인과적 조건, 반응, 전략, 결과라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성공적으로달성하기 위해서는 상황적, 중재적 조건의 충족과 장애요인의 제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본 연구에서는 복지기술이 노인의 안전, 일상생활 지원 및 서비스제공자의 업무 효율화 등에 유용한 상황적 조건임이 밝혀졌다. 본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커뮤니티케어 모델 개발에 필요한 개념적 틀과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for establishing welfare technology based community care model for older people living in public silver housing.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social service model which is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welfare technology to develop a model for providing community care services. Qualitative research using bot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s has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needs and problems for older people living in public silver housing and to find strategies for providing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ty care services. Findings indicated that four themes including 1) the life and function of older people, and their goal, 2) older people and environment, 3) purposes and methods for service provision, 4) efforts for smooth social service delivery were identified. A total of 12 domains and 47 sub-domains by each theme were draw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based o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s where they resid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should be also accompanied to ensure the services runs smoothly.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causal condition, responses, strategies, and outcomes are necessary to develop a community care model based on themes. Moreover, meeting situational and mediating conditions, eliminating obstacles, and making additional efforts for service provision is necessary to successfully achieve such processes. Findings found that welfare technology is a useful condition for the safety of older people, daily life support, and efficiency of work for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basic data for developing community care models for older peopl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