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스트레스 대처이론과 스트레스 과정모델에 근거하여 충청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8개교 고등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370명의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청소년이 상대적으로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청소년에 비해 삶의 만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이 위험요인의 영향을 완충하는 대처기제로서 중요한 보호요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들은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관계없이 삶의 만족이 낮았지만,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들은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면 삶의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스트레스 감소로 인해 삶의 만족이 증진되는 효과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에게서만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관련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담 그리고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며,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dolescents’ self-esteem exercis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aily stress. For this purpos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at eight high schools located in Chungcheong-do and Gyeonggi-do Province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se 370 students then underwent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hat the adolescents suffer from stress in their everyday lives, the lower their life satisfaction was. Second, self-esteem was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uffer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adolescents’ daily stres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proved itself to have a substantial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daily stres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stress reduction practices, undertaken with the intention of increasing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ould arguably be significant only for those with high self-esteem to begin with. Based upon these results, a variety of program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effectively enhance adolescents’ self-esteem and their life satisfac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