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실존 철학자인 니체와 하이데거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고찰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죽음 교육의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니체는 삶의 완성으로서의 죽음을 강조하였고 하이데거는 본래적 삶 회복으로의 죽음을 주장한다. 죽음교육의 의미는 다음 4개로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살 예방 교육은 철학적으로 고찰되어야 한다. 실존적 죽음교육은 자살예방교육을 위한 심층적 교육 배경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둘째, 죽음교육은 공존적 실존교육일 수 있으며, 개별적 실존교육의 발전된 형태일 수 있다. 셋째, 죽음교육은 비연속적 교육의 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교육을 받음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우리가 전인적으로 성장하고 결단과 책임을 통하여 실존교육의 정상으로 인도되기 때문이다. 넷째,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기 때문에, 죽음은 인간에게 전환점이다. 죽음교육은 일반교육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세상을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바탕을 제공해 준다. 결론적으로,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죽음교육은 인간에게, 무엇이 될 것인가 아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적 의미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ential philosophers, Nietzsche’sand Heidegger’s, perspectives of death and discuss the meanings of death education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death. Nietzsche emphasized death as the completionof life, whereas Heidegger insisted that death was the recovery of authentic life. Four topics of death education are discussed. First,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hilosophically reviewed. Existentialdeath education is an appropriate starting point for a deeper educational background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econd, death education can be coexistentialeducation, which could realize a higher degree of education than individual existentialeducation. Third, death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education to noncontinuouseducation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enable people to grow holisticallyand lead them to the top of existential life through resoluteness and responsibility. Fourth, as human beings reflect on their lives through death, death is undoubtedly aturning point therefore, death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reducation by opening up new horizons inspiring people to see the world from differentperspectives. In conclusion, in terms of existential points of view, death education canteach, a reflective meaning of how to live, not what to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