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팬덤 활동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이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학업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1차년도 중학생 조사대상자 중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운동선수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 1,547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팬덤 활동은 소극적 활동 집단, 온라인 활동 집단, 물품 구매 활동 집단, 서포트 활동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각 계층에 대해 성별과 거주지, 친구 관계의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성별과 친구 관계가 유의하였다. 셋째, 잠재계층에대한 결과변수로서 학업태도를 학업 열의(헌신, 활기, 효능감, 몰두)와 학업 무기력(통제신념결여, 학습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 능동수행 결여)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활기, 학습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에서 유의한 계층 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 활동에 대한 응답을 통해 잠재계층을 구분하여, 팬덤 활동 유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유형을 구분하지 않거나 자의적으로 구분한 기존 연구의한계를 극복하고, 팬덤 활동의 학업태도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알아보았다는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fandom activities of adolescents by latentprofile analysis and to identify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the latent profi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547 middle-school student subjects of the first survey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who responded to questionsabout whether they have favorite entertainers or athlet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youth's fandom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passive activity group','online activity group', 'product purchase activity group', and 'support activity group'. Second,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gender, residence, and friend relationship,gender and friend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latent profiles. Third,among the academic attitude variables as outcome variables, lack of vitality, learningmotivation, and affirm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latent profiles. This study made contributions to identifying the types of fandom activities ofadolescents by dividing latent profiles and thu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studies that did not distinguish types of fandom activities or classified them arbitrar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