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research attempt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ormulaic sequences (FSs) (e.g., on the table) that are used in second language (L2) learners’ speech and their fluency scores. Previous L2 studies have long been explo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Ss and their relevance to the level of L2 proficiency. We pay attention to certain FSs and further refine them, to identify the patterns between FSs and comprehensibility. In this study 411 FSs were extracted from timed-picture description speech tasks by adults Korean learners of English.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Ss and L2 comprehensibility scores. Also, both high and low proficiency groups had no differences concerning bi-gram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regarding 3, 4 and total number of n-grams. Furthermore, total number of n-grams turned out to be the best predictor for the comprehensibility scores. Overall, this paper revalidates that learning FSs of various n-grams is indispensable to improve L2 fluency.


본 연구는 제2외국어(L2) 학습자의 구어에 사용되는 정형어구(예: on the table)의 수와 유창성 점수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전의 L2 연구에서 정형어구의 수와 L2 숙련도 수준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오랫동안 탐구되어 왔다. 우리는 특정 정형어구를 구성하는 N-gram 분석을 통해 각각의 정형어구의 수와 이해도 점수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 성인학습자 75명을 대상으로 그림 묘사 녹음 과업을 진행하였고, 데이터를 전사하여 학습자 구어 코퍼스에서 총 411개의 정형어구를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이해도 점수가 높은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많은 정형어구를 발화하였음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두 그룹 모두 2-gram 개수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3-, 4-, 그리고 전체 N-gram의 개수에 대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다양한 N-gram의 개수는 이해도 점수를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수로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이해가능한 구어 유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정 개수가 아닌 다양한 N-gram에 초점을 맞춘 정형어구 학습이 영어교육 현장에 필요함을 시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