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부는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을 도입하여 의료-보건-돌봄 서비스가 연계되는 새로운 노인복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4대 핵심 과제로 지원인프라 확충, 방문형 의료서비스, 요양돌봄재가서비스, 서비스연계 자율형 전달체계를 제시하면서 2026년 이후 커뮤니티케어의 보편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커뮤니티케어의 문제점으로 거주공간의 확보문제, 케어메니지먼트의 구축문제,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 문제, 의료-보건-돌봄 서비스 연계의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커뮤니티케어의 개선 방안을 경상북도에 적용하면서 제시하였다. 경상북도의 경우 거주공간의 확보는 주거지원 인프라의 확충을 추구하면서 다른 지역보다 활용 가능한 공간을 고려해 보는 것이 유리하다. 전달체계 구축 담당자로서 케어 메니저의 역할이 강조되고 케어메니저의 자격 부여와 함께 케어메니저의 역략 증진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케어안내 창구는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각종 서비스를 연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제공하는 모델 마련이 필요하다. 의료-보건-돌봄간 경계를 허물고 전달체계간 연결와 통합을 위해서는 경상북도가 지닌 지식, 능력을 활용하여 건강증진에 커뮤니티와 그 구성원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돌봄 모형을 만드는 방식을 추구해야 한다.


The government introduced integrated community care (community care) to establish a new elderly welfare system that links medical-health-care services, and expand support infrastructure as four key tasks, visit-type medical services, nursing home care services, and service connection. It has been promoting the universalization of community care after 2026, suggesting an autonomous delivery syst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ains the problems of community care, focusing on the problems of securing living spaces, building care management, establishing roles of local governments, and linking medical-health-care services, as well as improving measures for community care. It was presented while applying it to Gyeongsangbuk-do. In the case of Gyeongsangbuk-do, it is advantageous to consider available space compared to other areas while pursuing expansion of residential support infrastructure to secure living space. The role of the care manager as the person in charge of establishing the delivery system is emphasized, and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strategy of the care manager along with the qualification of the care manager. As for the care information window,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odel in which the private and public cooperate to link various services and provide them using big data. In order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medical-health-care and connect and integrate delivery systems, the community and its members should take the lead in health promotion by utilizing the knowledge and capabilities of Gyeongsangbuk-do to create a caring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