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구직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의사소통 과정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OO시의 고용센터 이용자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해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Baron & Kenny(1987)가 사용한 3단계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직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의사소통은 구직욕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직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의사소통 과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의사소통 과정은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구직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의사소통이 사회적 지지와 구직욕구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구직자에게 있어서 구직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on the effect of job seeker’s perceived social support on job search nee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30 users of job centers in OO city, Gyeongsangbuk-do.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ree-step median effect analysis used by Baron & Kenny (1987)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of job center users influenced their job search need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job center users on job search needs, the communication proces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on job search need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promotion program that can increase job search behavior for job seekers by grasping the effects of job seekers' perceived social support on job search needs, and in particular, and revealing that communic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job search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