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번아웃 증후군(burn out syndrome)을 경험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경험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참여자들이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주의회복 환경과 회복 경험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번 아웃,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경험 선호, 회복환경 및 경험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23을 이용하여 빈도, 요인, 신뢰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소진을 제외한 개인 성취감, 비인격화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경험 선호와 회복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경험 선호와 회복 경험의 관계에서 회복환경이 조절 효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개인의 번아웃 증상과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경험 동기에 미치는 요인을 구체화하여 주의회복이론의 회복환경에 적용함으로써 회복 경험의 요인과 번 아웃 간 영향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따라서 개인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번아웃에 해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인식하고 적절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통해 일상의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oration environment and recovery experience resulting from the participation of outdoor recreation of recreational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burn out syndrome in their daily live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23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 out, outdoor recreation experience preference, restoration environment, and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person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utdoor recreation experience preferences and recovery experiences, but emotional burnout didn’t. In addition, the recovery environ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recreation experience preference and recovery exper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sitive impact of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on burnout relief and overcome daily stress through appropriate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