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나다/들다’를 중심으로 영상도식을 활용한 어휘 교육 및 의미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영상도식은 여러 가지 특정 영상들을 포괄하는 추상적 층위의 기본 구조로, 어휘의 의미가 확장되더라도 고유의 도식적 구조는 보존된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어휘 의미 교육에서 영상도식을 활용하면 학습자의 암기 부담을 줄이면서 많은 어휘를 습득하고 기억 지속 시간을 늘리는 등의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나다/들다’를 포함한 연어 표현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으로 ‘나다/들다’의 기본 의미를 OUT/IN과 같은 영상도식으로 제시하고 이를 ‘나다/들다’가 사용된 다양한 표현을 연계하여 지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나다/들다’가 포함된 문장을 접하게 하여 학습자가 ‘나다/들다’의 의미를 추측하게 한 후 영상도식을 통해 기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나다/들다’가 기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와 확장 의미로 사용된 경우를 다양한 문장을 통해 연습하고 ‘나다/들다’와 동시에 결합하면서 의미가 유사해지는 경우도 문장과 맥락을 제시함으로써 의미를 변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별 지도 방안을 고안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vocabulary and collocation education methodology by using an image schema. An image schema is a basic structure that encompasses a variety of specific images. In such a schema, even if the vocabulary’s meaning is expanded, its original schematic structure is preserved. Therefore, using an image schema for vocabulary acquisition and semantic education may reduce the memorization burden for learner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many vocabulary words and increasing one’s memory duration, achieving educational effects is expected. In this paper, the basic definition of ‘Nada/Deulda’ is presented as an image schema (such as ‘OUT/IN’) as a method for effectively teaching collocation expression, including ‘Nada/Deulda’ and other various expressions using ‘Nada/Deulda’. A teaching methodology in connection with many sentences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a sentence with the words ‘Nada/Deulda’ is presented in such a way that the learner can guess the meaning and the image schema of ‘Nada/Deulda’. Second, cases in which the words ‘Nada/Deulda’ are used as the basic meaning and instances in which they are used as an extended meaning are practiced through various sentences. By doing so, we have thus devised a step-by-step instructional plan to differentiate among mea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