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이버 불링 주변인으로서의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들의 도덕적 이탈과 죄책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궁극적으로는 실제 사이버 불링 상황의 피해를 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로 기능하는 주변인의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7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 방어행동 척도, 도덕적 이탈 척도, 죄책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도덕적 이탈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죄책감 및 방어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도덕적 이탈은 죄책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죄책감은 방어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과 죄책감은 모두 유의미한 개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과 죄책감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도덕적 이탈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높은 죄책감을 유발하여 방어행동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집단 내에서 사이버 불링의 심각성을 완화하는 중요한 기능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ral disengagement and gui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defending behavior of bystanders in cyberbully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were 477 university stud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guilt and defending behavior,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ral disengagement. Moral disengage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uilt, and guil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efending behavior, moral disengagement and guil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dditionally, moral disengagement and guilt had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inform our understanding of ways to reduc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yberbully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via the defending behavior of bystander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