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Many concerns that new technology and computerization would destroy a significant proportion of middle class job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utomation on manufacturing jobs in a small open economy. Using a firm level panel data from South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mputerization changes labor demand in a small open economy.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s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omation and employment. In other words, the demand for routine jobs which are easily replaceable by computer capital tends to decrease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However, the negative relationship is smaller in major export industries even with an increasing trend of automation.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gative effect of automation on employment could be offset by the level of trade concentration of each industry in a small open economy.


새로운 기술 발전이 중산층 일자리를 크게 훼손할 것이라는 걱정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소규모개방경제에서 자동화가 제조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 제조업 분야의 기업 수준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소규모개방경제 하에서 자동화와 전산화가 노동수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실증분석 결과는 자동화와 고용 간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컴퓨터 자본에 의해 쉽게 대체 가능한 단순 반복적 업무는 기술 발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수출 주도의 산업구조를 가진 소규모개방경제의 경우, 기술과 일자리 사이의 부의 상관관계가 다소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소규모개방경제 하에서 자동화가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산업별 무역집중도 정도에 따라 일정 부분 상쇄되는 효과가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