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평가에서 평가준거의 수준(구체적 준거, 보통 준거, 무준거)이 학업성취, 동료평가에 대한 흥미, 동료평가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 참여자는 67명의 학부 학생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성취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64)=13.71, p<.05). 구체적 평가준거를 사용한 집단이 보통 준거나 무준거를 사용한 집단보다 학업성취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보통 준거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는 무준거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동료평가에 대한 흥미에서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ilksLamda=.49, p<.05). 하위구인 관련성에서는 구체적 준거를 사용한 집단이 무준거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반대로 자신감에서는 무준거 집단이 구체적 준거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흥미 점수를 나타내었다. 평가의 신뢰도는 평가준거가 구체적일수록 교수자의 평가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평가의 평가준거가 구체적일수록 평가하는 학습자에게는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자신의 학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의미한다. 평가의 준거가 구체적이고 세부적일수록 학습자들은 평가가 자신의 학습과 연계되고 학습을 증진시킨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인식했지만, 반대로 구체적인 평가준거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거나 평가 자체를 하나의 어려운 과제로 생각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심층적인 노력이 요구됨을 연구의 마지막에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level of assessment criteria (specific criteria, standard criteria, non-criteria)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the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For this study 67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cademic achievement(F(2,64)=13.71, p<.05). Groups using specific assessment criteria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using standard or non-criteria,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roups using standard criteri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using non-criteria. Interest in peer assessmen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WilksLamda=.49, p<.05). In the sub-construct relevance, the group using specific criteria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criteria group, while in confidence, the non-criteria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pecific criteria group. The more specific the criteria, the higher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s related to the instructor's assess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specific the peer assessment criteria, the better learners understand the content through peer assessment experiences and performance of their tasks. And the more specific and detailed the criteria for the assessment, the more learners perceived that the assessment was related to their own learning. However, learners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assess using specific criteria, and that it is considered another challenge of its own. Subsequent studies suggested at the end of the study that in-depth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s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