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미술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미술교육을 다소 실행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느끼는 이유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에 대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의 부족 때문이라 판단한 바, 학교 미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 실행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하고,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연계와 협력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미술 사례를 선정 및 분석하였으며, 이의 교육적 변환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6가지 중점 요소, 즉 ‘지역을 탐방하면서 특징 인식 하기’, ‘지역에서 표현 재료 탐색하고 수집하기’, ‘지역사회의 이슈 발견하기’, ‘지역 사회 구성원의 이야기 수집하기’, ‘소통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 마련하기’, ‘표현 공 간의 경계 허물기’를 도출하였다. 또한, 중점 요소를 적용한 주요 수업 활동을 제안 하면서 실제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논의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학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for teachers to implement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As the National Curriculum is revised, the need for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is increasing. However, teachers still have difficulty practicing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is, this study suggests implement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rt classes. For this, I conducted a theoretical study on community-linked/based art education, analyzed cases that actively collaborate with communities and derived six important elements for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through didactic transposition. These are ‘exploring the community’, ‘searching and collecting materials of community’, ‘searching issues of the community’, ‘collecting stories of members of the community’, ‘arranging time and space for communication’, ‘breaking the boundaries of space for expression’. Finally, instructional plans can be applied to school education were suggested. Through the discussions dealt with in this study, I hope that the interest in community-linked art based on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will increase and that research on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educ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