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 우한지역에서 최초 감염이 확인된 코로나19(Covide-19)는 현재까지 그 끝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장기화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의 상황으로까지 이르게 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신종 감염병 재난 상황으로 인해 세계 경제의 침체, 일상생활의 곤란 등 우리 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가히 상상을 초월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양분하여 재난을 정의하고 있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감염병 재난은 사회재난의 한 유형이나, 또 다른 한편으로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어느 순간 심각한 상황으로 악화되어 대규모 피해 발생으로 귀결되는 순간증폭형 재난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대규모 피해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재난 대응 과정에서의 초기 대응 능력과 피해의 확산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수 있는 능력 등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우리나라는 과거 사스(2003년도), 메르스 사태(2015년도) 등과 같은 대규모 재난사례를 통해 재난 대응체계의 발전과 대응주체들의 역량을 강화해 온 결과, 중앙·지방정부 그리고 민간 등이 협력하여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한 발 빠른 대응을 해왔다고 자부할 수 있다. 또한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 역량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더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재난안전법 개정에 따라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에 대한 교육 제도를 법제화하고 있으나, 실제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들은 재난부서를 기피한다든지 또는 순환보직 체계에 따라 재난 대응 역량과 경험을 충분히 쌓지 못하고 있다. 이에 더해 국가 차원에서 재난관리 분야 전문공무원 제도로 도입한 방재안전직 공무원은 아직 그 숫자가 많지 않고, 충분한 실무교육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현업에 배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을 전담하고 있는 방재안전직의 경우 2018년 퇴직자 중 66%(24명)가 1년 이내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치 후 업무량 과중과 잦은 비상 근무, 낮은 처우 등으로 인해 배치 후에도 국가 차원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본 고에서는 재난안전법에 따른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의 법적 정의, 방재안전직렬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관리자 교육체계와의 비교를 통해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의 교육 대상의 범위, 교육 이수시기와 기간에 대한 현행법상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Corona19 (Covide-19), the first confirmed infection in Wuhan, China, has been prolonged to the point where the end is unknown, leading to a global pandemic. Due to the disaster situation of a new infectious disease called the spread of Corona 19, the impact on our life as a whole, such as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and difficulties in daily life, is beyond imagination. 54) According to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Framework Act, which defines disaster by dividing it into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are a type of social disaster, but on the other hand,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are a type of social disaster, but on the other hand, as time elapses, it will deteriorate into a serious situation at some point, resulting in massive damage. It can also be classified as an instant amplification type of disaster that results. To actively prevent large-scale damag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bilit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initial response-ability in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and the spread of damage.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responders through large-scale disaster cases such as SARS (2003) and MERS (2015) in the past, the central,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have cooperated to 19 We can be proud that we have been quick to respond to the prevention of spread. Also,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is once again emphasized through the Corona 19 outbreak. To this end,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Disaster Safety Act in 2013, the education system for persons engaging in the field of disaster and safety has been legislated, but in practice, they are evading the disaster department or are not sufficiently accumulat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ystem. Also, the number of public officials in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which has been introduced as a system of professional public officials in the field of disaster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is being assigned to the field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practical training.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public officials in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who are in charge of disasters in local governments, 66% (24) of the retirees in 2018 were found to have retired within one year. After deployment, due to heavy workload, frequent emergency work, and low treatment, etc. Therefore, it is often not possible to have a national level even after deployment.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definition of workers in the disaster safety field according to the Disaster Safety Act,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public officials in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system, and compares it with the safety manager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rough this, we intend to derive improvements under the current law regarding the scope of education targets for persons in the field of disaster and safety, the timing and duration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