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80년대 초 한국의 경제 자유화 과정에서 이뤄진 발전전략의 변화를 담론제도주의의 틀로 분석한다. 기존의 지배적 해석들은 이 시기의 한국의 경제 자유화를 국가가 후퇴하는 신자유주의로의 전환점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한국의 경제개혁은 남미의 구조적 통화주의와 달리 긴축과 개방에도 불구하고 변형된 형태의 산업정책을 지속했다. 경제 자유화를 주도한 경제기획원 개혁파들은 주요 행위자를 설득하기 위해 사회적으로 공유된 발전주의에 기초해 정통 자유주의 전략과 상충하는 전략적 산업 육성을 수용하되, 산업정책을 신고전파 경제이론에 따라 재해석함으로써 변화된 환경에 적응시켰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발전전략의 변화를 주요 행위자들이 공공정서를 기반으로 처음의 정책담론을 변용하고 적응시키면서 집합적으로 상호적 합의를 형성하는 구성의 정치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nalyses the change of developmental strategy in Korea’s economic liberalization during the early 1980s through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 prevalent views regard Korea’s economic liberalization during this period as a turning point to neoliberalism, meaning the retreat of the state. However, despite austerity and openness, Korea’s economic reform has sustained industrial policy in a modified form, unlike structural monetarism in most Latin American countries. Economic Planning Board’s reformists leading the economic liberalization accepted promotion of strategic industries contradictory to orthodox liberalism strategy based on socially shared developmentalism to persuade other major actors but modified industrial policies for new conditions by reinterpreting it from their neoclassical economics’ idea. This paper argues that change of developmental strategy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politics of composition in which major actors form an interactive consensus collectively by changing and adjusting one’s initial policy discourse based on public sent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