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삼별초는 출륙환도 이후 여몽관계가 이전과 다른 형태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장래의 생존이 불안해지게 되면서 봉기를 일으켰다. 초기 지향점은 개경 정부를 무너트리고 자신들이 고려 정부로서 존속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내륙 배후지 확보 실패와 이에 따른 전략 방침 전환 과정에서의 확장성 상실 및 생산력 문제로 한계에 부딪혔다. 이후 삼별초는 쿠빌라이의 양해 하에 전라도 지역을 얻어 몽골제국에 직접 예속되는 것을 제의하였다. 고려 변방지대 일부를 제국령으로 편입하고 내투한 세력가에게 그 지역을 담당시켰던 쌍성총관부나 동녕부의 선례에 근거하여, 여몽 경계면의 접경세력으로서 존속을 모색했던 것이다. 그러나 별개의 국왕을 옹립하고 조정을 자처했던 삼별초 세력은 그 존재 자체가 원종과 쿠빌라이의 합의로 인해 형성된 새로운 체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었기에 교섭은 결렬되었다. 여몽연합군에게 진도가 함락되고 승화후 왕온이 살해당하면서 삼별초 세력이 가지는 대립정부로서의 입장은 사실상 소멸하였으며, 이후 탐라로 이동한 잔여 세력의 활동은 물자 획득을 위한 조운선 습격이나 진압군 차단을 위한 선박 건조 방해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이들의 목적이 세력의 생존과 유지 그 자체로 수렴되고 있었음을 나타내며, 이들이 진압당하면서 세력으로서의 삼별초는 소멸하였다삼별초 세력은 생성에서 소멸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패착으로 해석되는 전략적 선택지를 택하기도 하였으며, 여몽관계의 경계면에서 쌍방의 입장이 교차하는 매개체가 되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일관적인 정체성과 지향점은, 여몽전쟁 종결로 형성된 새로운 세력구도 내의 접경을 배경으로 추구되었던 독자적 생존이라는 맥락에서 찾아볼 수 있다.


Sambyulcho caused an uprising as the future survival became unstable as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progressed in a different form after the abandon Ganghwado and return capital of Goryeo government. Their initial goal was to overthrow the Gaegyeong government and they continue as the Goryeo government, but this was met with limitations due to the failure to secure an inland hinterland and the loss of scalability and productiv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rategy policy. Afterwards, Sambyulcho proposed to acquire the Jeolla region under the understanding of Kublai and to be subordinated directly to the Mongolian Empire. Based on the precedents of the Ssangseong-chonggwanbu and the Dongnyeongbu, which incorporated some of the Goryeo territory into imperial decrees and took charge of the region to the surrendered leaders, it sought to survive as a border force on the border area of Goryeo and Mongol. However, the forces of Sambyulcho, who had declared themselves as the government, were directly denying the new system formed by the agreement between Wonjong and Kublai, and thus, the negotiations broke down. As Jindo fell by the Goryeo-Mongol Allied Forces, the confrontational government in Sambyulcho disappeared, and the activities of the remaining forces that moved to Tamna afterwards consisted mainly of raids on the cargo vessels to acquire supplies and obstruction of ship construction to block the suppression forces. This indicates that their purpose was converging with the survival and maintenance of the forces themselves, and as they were suppressed, Sambyeolcho as a force disappeared. The forces of Sambyulcho sometimes chose a strategic option that was interpreted as defeat in the process from creation to extinction, and also became a medium in which both positions intersect at the boundary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The consistent identity and orientation that consistently emerges in the process can be found in the context of independent survival, which was pursu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border within the new power structure formed by the end of the Goryeo-Mongol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