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전쟁이라는 국면에서 조선인 만주 이민자들이 제국을 위한 ‘개척의 전사’로 표상되는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만주의 조선인들은 제국의 국방에 위협이 되는 잠재적 불령선인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전시체제가 성립하면서 만주의 개발과 오족협화에 공헌하는 개척민으로 격상되었다. 이 개척민 표상의 등장을 해명하기 위해 관동군이 제출한 이민정책 구상의 변용을 추적하였다. 특히 이민정책의 재편을 둘러싸고 벌어진 조선-일본-만주 간의 정치적 역학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여 정책방침의 변용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개척의 전사’라는 프로파간다의 이면에는 철저한 제국 본위의 정치적 목적이 관철되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organizing of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to Manchuria after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y 1937, the Kwantung Army had suppressed Korean migration to Manchuria and changed its immigration policy to secure the labor force needed to carry out the war. With this policy change, society’s perceptions of Korean immigrants went from anti-Japanese suspects to pioneers of a new empire. In this paper, I trace the political dynamics between Japan-Korea-Manchu with a focus on these states’ immigration policies in Manchuria and analyze the process and logic of policy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