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성장한 도시적 감수성의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 내지 ‘고향’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된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효석과 김유정 문학의 경우, 고향 ‘영서’가 문학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생산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고 있다. 특히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에 나타나 있는 ‘영서’(혹은 고향) 표상이 지닌 의미를 출판 매체(잡지)라는 당대 텍스트 생산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조광』지에 발표된 이효석과 김유정의 ‘농촌’ 배경 소설이 지닌 의미를 1936년 『조광』 고향 기획 특집과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합대중잡지를 표방하고 1935년 11월 창간된 『조광』이 1936년 네 차례에 걸쳐 진행한 ‘고향’ 특집 기획은 김유정과 이효석의 나타난 ‘고향’ 내지 ‘농촌’ 표상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으로 작동하고 있다. 『조광』의 1936년 고향 기획 특집은 <봄·봄>(『조광』, 1935. 12), <동백꽃>(『조광』, 1936. 5)과 <모밀꽃 필 무렵>(『조광』, 1936. 10)의 향토성과 서정성을 추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을 형상화한 대표적 작가로 불리게 된 저변에는 문단에서 입지를 확고하게 하고 싶어 했던 두 작가의 욕망과 분투도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김유정의 <봄·봄>, <동백꽃>과 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발표 지면이 어떻게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 시기 『조광』에 발표된 ‘영서’(혹은 농촌) 배경 작품이 아닌 다른 김유정과 이효석의 작품들과의 맥락 속에서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을 살펴보는 것은 이후 과제로 남겨 놓는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ho grew up in cities and so adopted urban sensibilities after being baptized by modernity, came to be writers who represented the local lyricism and homeland trends. This article begins by describing how ‘Yeongseo’, the home of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as the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in which their literary texts were produced.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Yeongseo’, or homeland, as shown in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published journals.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Lee Hyo-seok’s and Kim Yu-jeong’s novels set in rural villages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in connection with the journal’s special Homeland project in 1936. Chogwang, which was founded in November 1935 as a comprehensive popular magazine, conducted four special Homeland projects in 1936 which were centered around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to the symbols of homeland or rural villages that appear to Kim Yu-jeong’s and Lee Hyo-seok’s works. Chogwang’s special Hometown projects in 1936 are believed to have inspired the locality and lyrical natures of Spring &Spring(December1935),Dongbaekflower(May1936),and BuckwheatSeason(October1936).LeeHyo-seokandKim Yu-jeonghavebeencalledrepresentativesoflocallyricism because of their desire and struggle to clarify their position in the literary world. Thisarticleexploresthejournal’ssocialandhistorical environment, focusing on Kim Yu-jeong’s Spring & Spring and Dongbaek flower and Lee Hyo-seok’s Buckwheat Season.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context of other works of Kim Yu-jeong and Lee Hyo-seok,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during this period but were not based on ‘Yeongseo’ or rural vill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