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소-음소 자동대응기기(Play Tango)를 활용한 파닉스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 1-2학년 난독증 학생의 음운인식능력과 해독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소-음소 자동대응기기(Play Tango)를 활용한 파닉스 프로그램을 연구참여자 3명에게 실시하였다. 음운인식과 해독능력에 대한 중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20년 1∼4월 동안 기초선(3회), 중재(20회), 유지(2회)로 구성된 단일대상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사전·사후 점수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난독증 학생의 음운인식 점수와 해독 점수의 향상이 확인되었으며, 중재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 및 촉각적으로 제공되는 문자타일과 청각적 자극인 그 글자의 소리가 동시에 자동으로 제시되는 Play-Tango를 활용한 파닉스 프로그램은 난독증의 음운인식 및 해독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ics training program using a grapheme-phoneme automatic corresponding device (Play Tango) on improving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deco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dyslexia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B design was applied to three participants. Participants conducted a total of 25 sessions of 3 baseline sessions, 20 intervention sessions, and 2 maintenance sess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decoding tests modifi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to the participants. Phonological awareness test of BASA:EL and decoding test of KOLRA were also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decoding score of students with dyslexia improved,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phonics training program using Play-Tango, in which the letter and sound of the letter provided visually and tactilely are presented simultaneousl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honological recognition and deco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dyslex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