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한 원도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교수경험을 조명함으로써 원도심 초등학교 교육활동의교육적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 원도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및 생활지도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를통해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도심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과지도 과정에서원도심 학교의 제한된 교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그들은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여러 가지교수방법을 모색하였으며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교수를 시도하였다. 둘째, 참여 교사들은 친밀성을기반으로 협력적인 교직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원도심 초등학교가 갖는 환경적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하려고 하였다. 셋째, 원도심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 내부 자원으로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생활지도과정에서 가정과 연계된 생활지도에는 한계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으나, 이를 학교와 학급 내 사회자본 형성을 통해극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원도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적인 삶과 교육을 조명함으로써 원도심 초등학교의이해와 개선 그리고 교육격차의 해소를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인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meaning of an inner city elementary school’s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teachers. I selected an inner city elementary school that I had worked as teacher at for three years as an objects of this study. I selected the 5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 collected the datum on January and February, 2020 by interview, collecting documents, taking a picture of products in class. The conclusions on analyz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an inner city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tried to overcome the limited situation of teaching subjects of an inner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ied to seek the teaching method applying feature of the small urban elementary school’s students in curriculum and tried to expand students’ experiences much wider. Teachers also made up cooperative teaching culture based on intimacy and regarded environmental weaknesses of an inner city elementary school as advantages on teaching. Meanwhile, teachers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student guidance by using inner resource of school. Teachers have no choice but to acknowledge the difficulty of cooperative teaching students with their parent and families. However, teachers tried to make up the social capital in classroom and lesson in other to recover the difficul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