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무엇이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가? 한국 사회가 이룩한 경제발전에도 불구하고 왜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는 개선되지 않는가? 이 글은 앞선 연구에 기반을 두어 도출한 두 모델(사회지위 모델과 사회이동성 모델)에 더하여 제도신뢰 모델이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했다. 또한, 제도신뢰 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인신뢰/불신 변수가 미치는 조절효과에 주목했다. 세계가치조사 7차 조사를 활용하여 분석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은 다차원적이었다. 시회지위 모델, 사회이동성 모델, 제도신뢰 모델이 한국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 글의 실증 분석 결과 대인신뢰/불신 변수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의 분석 결과는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으로서 한국 사람들의 주관적 인식이 객관적 지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제도에 대한 신뢰가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해 주었다.


What determines the Korean's satisfaction with life(Subjective Wellbeing)? Why does Korean people‘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life not improve despite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article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al trust model, the social status model and the social mobility model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lso paid attention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trust/dis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trust and life satisfaction.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analyzed using the 7th World Value Survey is as follows. First, the determinants of Korean life satisfaction were multidimensional. The social status model, social mobility model, and institutional trust mode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satisfaction with life. In particular,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distrust variables confirm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article showed that subjective perception has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 life satisfaction. It also confirmed that institutional trust over Korean democracy's main branches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Korean's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