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진로정체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가 제안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토대로 설계하였고, 전문가에 의해 논의와 타당화 과정을 거친 후, 총 12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최종 구안하였다. 연구도구는 조은주(2001)의 진로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에 프로그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난 이후 SPSS/Windows 22.0의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 결과와 관련된 신뢰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의 회기별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보충하여 각 구성요인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사이에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매년 학교 밖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이들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status of out-of-school youth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career identity status.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ark In-woo (1995)'s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12 sessions and it is validated by the professionals. The research tool used was career identity scale by Cho Eun-joo(2001).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the Mixed ANOVA method in SPSS/Windows 22.0.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sub-area was analyz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session-by-session comments of group members and the consultant's observations.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of out-of-school you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is needed as the population of out-of-school youth is increasing each y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