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노동시장 내 성별 임금격차의 원인으로 많은 국내 연구들이 여성-집중 직종의 저임금화 경향성을 지적해 왔으나 직종 내 여성비율과 임금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많은 경우 자료와 방법론적 한계를 지닌다. 이 연구는 가치절하 이론에 기반하여 종단자료에 대한 패널분석방법을 이용해 직종 내 여성비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다. 한국노동패널 12차~20차 자료를 고정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 및 직종의 직무기술과 작업환경을 통제한 후에도 직종 내 여성비율은 임금에 부정적 효과를 미치나 이러한 부정적 효과는 여성에게만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직종 내 여성비율의 임금효과는 성별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러한 성별화된 패턴은 인사관리의 공식화 정도가 낮을 것이라 예상되는 중ㆍ소규모 사업체에서 더욱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개인 수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고 기존 국내의 가치절하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일련의 직종 특성을 통제하는 등 방법론적 문제를 해소하여 직종 내 여성비율이 임금 수준에 미치는 순효과를 처음으로 실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서구의 연구들에서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가치절하에 따른 임금 불이익이 성별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주변부 노동시장에 있는 여성들에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In light of cultural devaluation theory,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xistence of occupational devaluation and its heterogeneous effects by firm size, which has surprisingly been overlooked in Korea.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KLIPS) from 2009 to 2017, we directly estimate the net effect of gender composition on wage level. Net of a series of individual and occupational level covariates, the result from fixed effect model demonstrates that a higher percentage of female within an occupation has a substantial negative effect on the wage level. Interestingly, being in predominantly female occupations yields negative returns only for female workers. That is, wage penalty of predominantly female occupations appears in a gendered way, thereby exacerbating gender wage gap in the Korean labor market, which speaks in favor of gendered tokenism. Further analyses reveal that such penalty and its gendered pattern gets more pronounced in small and middle size firms where the levels of formalization are relatively lower, thus there may exist more room for direct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workers. These results imply that devaluation may not be a generic process under certain institutional contexts. Altogether, we argue that Korean male workers can be insulated from the penalty in the gendered organizational settings that generally favor male over female.